카테고리 없음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원인부터 치료까지 종합 정보

자동차 전문블로그 CarDay 2025. 8. 9. 14:43
반응형

 

심실중격결손 (VSD)

가장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모든 것

❤️심실중격결손이란?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은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의 벽(심실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 구멍을 통해 압력이 높은 좌심실의 피가 우심실로 새어 들어가 폐로 가는 혈류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결손의 위치에 따라 막양부 결손, 근성부 결손, 대혈관판막하 결손 등으로 분류되며, 이 중 막양부 결손이 가장 흔합니다.

🧬원인은 무엇인가요?

대부분의 경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태아의 심장이 형성되는 임신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로 추정되며,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유전적 요인: 다운 증후군과 같은 특정 염색체 이상과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 임신 중 산모의 풍진 감염, 특정 약물 복용, 당뇨병, 알코올 섭취 등이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증상은 결손의 크기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작은 결손

대부분 증상이 없으며, 청진 시 '심잡음'이 들려 우연히 발견됩니다.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며, 많은 경우 저절로 막히기도 합니다.

큰 결손

생후 1~3개월경부터 증상이 나타납니다.

  • 빠른 호흡, 호흡 곤란
  • 수유 곤란 및 식은땀
  • 체중 증가 부진 (성장 장애)
  • 잦은 폐렴 등 호흡기 감염

🔬진단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합니다.

  • 심장초음파: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결손의 위치, 크기, 혈류량 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신체 검진: 청진기를 통해 특징적인 심잡음을 확인합니다.
  • 흉부 X-선 촬영: 심장의 크기와 폐혈류량의 증가 여부를 확인합니다.
  • 심전도(EKG):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분석하여 심장의 부담 정도를 평가합니다.

💊치료 방법

치료는 결손의 크기, 환자의 증상과 나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과 관찰

결손이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연적으로 닫히는지 지켜봅니다.

약물 치료

심부전 증상이 있는 경우, 이뇨제나 강심제 등을 사용하여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합니다.

수술 / 시술

결손이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구멍을 직접 막는 수술적 치료나 혈관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는 시술을 시행합니다.

🌟예후 및 합병증

심실중격결손의 전반적인 예후는 매우 좋은 편입니다. 작은 결손은 자연 폐쇄되는 경우가 많고, 수술받은 환아는 대부분 완치되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폐동맥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혈관이 손상되는 아이젠멩거 증후군(Eisenmenger Syndrome)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수술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중요! 조기 진단과 적절한 시기의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에게 의심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본 정보는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전문 의료기관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